애드센스 신청 전 꼭 해야할 일
- 웹 성능 측정해 보기 -
2022년도 부터 올린 첫 포스팅을 시작으로 가뭄에 콩나듯 작성해 오던 글이 어느덧 여러개가 되었습니다. 애드센스 승인을 진행해 보고자 구글 애드센스 관련 유튜브를 보니, 구글에서 제작한 한글버젼의 소개 동영상이 있지만 소개하는 이의 소리도 작고, 희안하게 귀에 하나도 들어오지 않는 영상이었습니다. 유일하게 1가지 눈에 띄었던 정보는, 애드센스 광고를 달고자 하는 웹 사이트의 성능 측정을 해볼 수 있는 곳을 소개하여 바로 실행해 봤습니다.
구글은 크롬 브라우저에 가장 최적화 되어 있어, 아이패드 프로에서 진행중인 다양한 작업들은 사파리 브라우저 대신 크롬 브라우저를 다운받아 사용중입니다. 애드센스 계정 가입은 했으나 오류가 보여 조치를 취해도 전혀 해결되지 않다가 크롬 브라우저에서 로그인 했더니 바로 해결되었다는 후기들을 많이 접했으니, 구글 관련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라면 무조건 크롬 브라우저 설치후 사용하기 바랍니다.
아무튼, 현재까지의 구축 상태를 측정해보려면 구글 검색창에서 '구글 라이트하우스'로 검색해야 상단에서 바로 확인이 됩니다. 라이트 하우스로 검색시 제대로 검색되지 않습니다. 클릭해서 해당 화면에서 다운받고 보니 노트북이나 pc기반에서의 크롬 웹브라우저 플러그인 개념이라 아이패드에서의 크롬 브라우저에선 지원되지 않는지 성능 측정할 수 있는 버튼이 보이지 않았습니다.
구글 라이트하우스
폰이나 타블릿 디바이스에서 측정해 보려면 크롬 웹 브라우저를 통해 가능.
- 구글 라이트 하우스 화면에서 타이틀 근처 링크를 눌러 해당 웹페이지로 이동한다.
- 플러그인 형태 말고도 라이트하우스 사이트 자체에서도 측정가능한데, 상단의 '측정 Measure' 메뉴를 선택하면 화면 중앙즘에 측정할 사이트의 url 입력창이 보인다.
- 입력창에 1차 도메인 입력 후 우측버튼 'RUN AUDIT' 선택한다.
- 측정 완료되고 나면 4가지로 측정된 값을 확인 할 수 있다.
- 4가지는 1. 사이트 속도(성능), 2. 접근성, 3. 모범사례, 4. 검색엔진 최적화로 상(그린), 중(옐로), 하(레드) 레벨로 도식화하여 보여준다.
ⓒ 2022. DasomCine All rights reserved.
'구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2차 도메인 구글 서치콘솔 등록 (0) | 2022.11.10 |
---|---|
구글 트렌드 (0) | 2022.11.09 |
구글 계정 삭제 후 복원 (0) | 2022.11.07 |
구글 계정 삭제, 계정 리스트에서 삭제 (0) | 2022.11.05 |
애드센스 가입 (0) | 2022.11.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