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 데이터랩이란? DataLab.
디자이너로 신입 시기를 보낼적엔 디자인이 제일 중요하다는 다소 좁은 시각을 가졌으나, 시간이 갈수록 디자인보다는 탄탄한 스토리와 기획력, 마케팅도 중요하다는 생각이 들게 되었습니다. 예를 들자면, 완성도가 떨어지는 이모티콘이라도 직관적인 전달력으로 키워드가 잘 표현된 이모티콘들이 상위에 자리하고 있는것을 한 예로 들 수 있겠습니다.
하여 자연스레 통계 분야로도 관심을 가지게 되었지만, 그래픽화된 통계치 값을 보여주어도 한눈에 들어오지 않고 여전히 어렵네요. 가끔 벤치마킹용으로 검색하고 있을 뿐입니다.
구글 애널리틱스, 구글 트렌드, 국내 통계청 사이트 등 다양한 서비스들을 통해 관심있거나 현재 이슈가 되고 있는 분야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비즈니스를 본격적으로 시작해 본 적 없다보니 벤치마킹용으로만 인지하고 있던 중, 네이버에서도 데이타랩(DataLab.)으로 비슷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걸 발견하고, 데이타랩을 필두로 하나씩 러프한 분석 과정을 기록해 보기로 해 봅니다. 전문 분석가의 시선이 아니라 디자이너이자 일반인의 관점이며, 분석은 아이패드 사파리 브라우저에서 진행하였으며, 별도의 로그인을 하지 않아도 서비스 이용 가능하였습니다.
네이버 데이터랩 (DataLab) 메뉴 구성
네이버 데이터랩
네이버의 검색 트렌드 및 급상승검색어 이력, 쇼핑 카테고리별 검색 트렌드 제공
datalab.naver.com
메인 화면에선 분야별 인기 검색어의 기본 옵션으로 '패션의류' 카테고리가 보여집니다.
네이버 데이터랩 (DataLab).
뉴스 댓글 통계
지난주 일요일부터 토요일까지 1주일치 값을 비교해 봤습니다.
- 댓글 참여도가 적은 날 - 주말
- 댓글 참여도가 높은 날 - 수요일, 목요일
위 막대 그래프엔 2주간의 값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 10월 30일은 일요일 이였음에도 압도적으로 높은 이유가 이태원 사건의 영향이 커 예외 사항으로 보고, 결과치 중에서 제일 눈에 들어온 것은 본인 삭제한 댓글에 대한 결과로, 8% 정도나 차지하는 부분이 흥미로웠습니다. 번외로 SNS나 유튜브의 적정한 업로드 요일과 시간에 대해 많이들 궁금해 할텐데, 위 통계만 봐도 모바일 사용빈도가 몰려있는 요일이 언제인지 쉽게 알수 있겠네요.
ⓒ 2022. DasomCine All rights reserved.